본문 바로가기

양자역학

비국소성의 원리와 명상 중 일어나는 초월적 체험

 

 

 

🔮 1단계: 양자역학의 비국소성이란 무엇인가?

 

양자역학의 비국소성(Quantum Non-locality)이란 양자입자(예: 전자, 광자 등)가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마치 서로 연결된 것처럼 즉각적이고 신비한 상호작용을 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쉽게 풀면, 두 입자가 멀리 떨어져 있어도 하나의 입자 상태를 변화시키면, 놀랍게도 다른 입자도 동시에 같은 변화를 일으키는 현상입니다.

이를  증명한 유명한 실험이 바로 ‘양자 얽힘(Quantum Entanglement)’ 실험입니다.

  • 우주 양 끝에 각각 A와 B라는 양자입자가 있습니다.
  • 이 둘은 "얽힘" 상태이기 때문에 서로 연결된 정보를 공유합니다.
  • A의 상태를 지구에서 관측하여 결정하면, 수십억 광년 떨어진 B의 상태도 즉각적으로 결정됩니다.
  • 빛의 속도보다 빠르게, 아니 거의 '즉시'라는 표현이 맞을 정도로 빠른 속도로 정보가 전달됩니다.

양자역학의 비국소성은 아인슈타인마저도 "유령 같은 먼 거리에서의 작용(spooky action at a distance)"이라고 놀랐던 현상입니다.

 

 

📌 예시 1: 양말 비유로 쉽게 이해하기

  • 빨간 양말과 파란 양말을 한 쌍으로 묶어 상자 두 개에 각각 넣고 하나는 서울로, 다른 하나는 뉴욕으로 보냈다고 가정합시다.
  • 서울에서 상자를 열었더니 빨간 양말이 나왔다면, 동시에 뉴욕 상자에는 파란 양말이 들어 있다는 사실이 즉시 확정됩니다.
  • 양자세계에서는 이처럼 서로의 상태가 멀리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즉각적으로 결정되는 연결성이 존재합니다. 이것이 바로 비국소성의 신비한 특징입니다.

 

📌 예시 2: ‘쌍둥이의 직감’

  • 쌍둥이들이 멀리 떨어져 있음에도 서로에게 큰 사건(한 명이 큰 사고를 당하거나 갑자기 아픔을 느끼면)을 직관적으로 느끼는 사례가 있습니다.
  • 과학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이 신기한 연결감이 마치 양자 비국소성과 닮아있다고 생각할 수 있죠. 즉, 물리적 거리와 무관하게 ‘즉시 연결된’ 상태인 것입니다.

 

 

🧘🏻 2단계: 명상 중 일어나는 초월적 체험이란?

 

명상에서의 **초월적 체험(Transcendental Experience)**이란, 깊은 명상 상태에서 자신과 외부 세계가 완전히 하나로 연결되는 것 같은 느낌, 즉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모든 것과 하나가 되는 느낌을 경험하는 것을 뜻합니다.

명상을 깊게 하면 뇌파가 변화하고(특히 세타파나 감마파), 주관적 경험으로는 자신과 주변 세상 사이의 경계가 흐려지며, 자아의 경계가 확장되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이때 보통:

  • 시공간의 한계가 사라지는 느낌
  • 모든 사물과 나 자신이 연결된 느낌
  • 지구 반대편에서 일어나는 일을 직관적으로 느끼는 느낌 등의 경험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예시 1: ‘우주비행사의 오버뷰 이펙트(Overview Effect)’

  • 실제로 우주에 간 우주비행사들은 지구를 멀리서 내려다보며 깊은 초월적 경험을 합니다. 이 경험을 **‘오버뷰 이펙트’**라고 부릅니다.
  • 예를 들어 아폴로14호의 우주비행사였던 **에드가 미첼(Edgar Mitchell)**은 달에서 지구를 바라보다가 갑자기 모든 우주가 하나로 연결된 느낌을 받았고, 이후 명상과 영적 탐구를 지속했습니다.
  • 이 체험에서 미첼은 지구에 있는 사람들이나 사물들이 물리적 거리와 관계없이 마치 하나로 연결된 것 같은 초월적 연결성을 강렬히 느꼈습니다.

 

에드거 미첼(Edgar Mitchell) 우주비행사는 아폴로 14호의 달 탐사 임무를 수행하던 중 지구를 우주에서 바라보며 깊은 인식의 변화를 경험했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오버뷰 이펙트(Overview Effect)**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볼 때 느끼는 심오한 인식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미첼은 이러한 체험을 바탕으로 1971년에 **"Institute of Noetic Sciences"**라는 연구 기관을 설립하여 인간의 의식과 초감각적 지각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그의 경험과 통찰은 다양한 인터뷰와 저서를 통해 공유되었으며, 특히 **"The Way of the Explorer"**라는 책에서 자신의 우주 비행 경험과 그로 인한 의식의 변화를 상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 미첼은 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보며 느낀 깊은 연결감과 초월적인 경험을 서술하며, 이러한 경험이 그의 삶과 세계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탐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는 의식과 우주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과학적 탐구를 이어갔으며, 이를 통해 인간 존재의 의미와 우주와의 관계를 재해석하려는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미첼의 이러한 경험과 연구는 우주비행사들이 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볼 때 겪는 심리적 변화를 이해하는 데 큰 기여를 했으며, 이는 오늘날 우주 심리학 및 의식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 예시 2:  ‘인도의 요가 수행자의 체험’

  • 히말라야 지역의 숙련된 요가 수행자들은 명상 중 먼 거리에 있는 제자나 가족의 감정 상태를 매우 정확히 느끼거나, 먼 거리에서 발생한 사건을 미리 직관적으로 감지하는 경험을 했다고 보고합니다.
  • 이는 마치 양자세계에서의 비국소성처럼 거리와 관계없이 순간적인 연결감이 느껴지는 체험입니다.

 

아마존 원주민 부족의 '드림워킹(Dream Walking)' 현상

  • 남미 아마존 원주민인 아추아르(Achuar) 부족은 매일 아침 부족 전체가 모여 꿈을 서로 공유하는 의식을 갖습니다.
  • 놀랍게도 부족 구성원들은 때때로 서로의 꿈에서 같은 인물, 같은 사건을 함께 보고 체험하는 경우가 많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과학적으로 확실히 규명되진 않았지만, 명상적 의식과 관련된 비국소적인 '집단적 초월의식'이 나타나는 예시라 할 수 있죠.

 

 

명상과 양자역학

 

 

 

 

 

3단계: 비국소성과 명상 중 초월적 체험의 유사성

 

양자역학에서 말하는 비국소성과 명상에서 초월적 체험은 사실 매우 흥미로운 공통점을 가집니다.

📍 ① ‘시공간의 초월’ (공간적 거리의 무의미성)

  • 양자 비국소성:
    • 물리적 공간의 거리와 상관없이 두 입자는 즉시 연결되어 영향을 주고받습니다.
  • 명상 초월체험:
    • 자신과 세계의 경계가 사라지면서 거리와 공간을 초월한 직관적 연결감과 하나됨을 느낍니다.

 

📍 ② ‘즉각적 연결성’ (Instantaneous Connection)

  • 양자 비국소성:
    • 입자들이 빛보다 빠르게, 사실상 즉각적으로 정보를 공유합니다.
  • 명상 초월체험:
    • 명상 상태에서는 직관적이고 즉각적으로 먼 거리의 정보나 다른 존재의 상태를 무의식적으로 감지하는 듯한 느낌을 받습니다.

 

 

 

🌌 4단계: 비유적 예시로 더욱 깊게 이해하기

 

 ‘나무와 숲의 비유’

  • 숲은 수많은 개별 나무들로 이루어져 있지만, 숲 전체는 지하 뿌리를 통해 미세한 균사(곰팡이 실)에 의해 하나로 연결되어 영양분을 주고받고 있습니다.
  • 하나의 나무가 피해를 입으면 먼 곳에 있는 나무들이 이를 감지하고 필요한 영양분을 보내줍니다. 과학자들은 이를 **‘나무들의 인터넷’**이라 부릅니다.
  • 이것은 양자적 비국소성이나 명상 중 초월적 경험의 연결성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깊은 차원의 연결을 보여주는 비유입니다.

 

‘고래들의 초장거리 소통’

  • 혹등고래는 서로 수백~수천 km 떨어져 있어도 초저주파 음파로 서로 교신하여 위치나 감정 상태를 공유합니다.
  • 이 소통은 거의 즉각적이며 멀리 떨어져 있는 바다의 고래들이 사실상 동시에 반응하는 놀라운 소통 방식을 보여줍니다.
  • 이처럼 자연에서도 시공간을 초월하는 즉각적 연결은 흔치 않지만 존재하며, 인간이 명상에서 초월적으로 경험하는 연결성과 매우 닮아있습니다.

 

 

🌠 5단계: 결론과 통찰

 

결국 양자역학의 비국소성과 명상에서의 초월적 체험은 모두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가집니다.

  • 공간과 시간의 한계를 뛰어넘은 연결성
  • 모든 존재들이 깊은 차원에서 근본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통찰

양자역학은 이를 입자의 미세 세계에서, 명상은 인간의 마음 세계에서 드러냅니다.

이러한 연결을 깊게 이해하면, 과학과 영성이 본질적으로 서로 만나는 영역이 존재한다는 매우 중요한 통찰을 얻게 됩니다. 이는 우리 존재의 근원적 연결성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영감을 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