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쇼핑몰 창업자 세금 핵심만 알려드림 — 사업자등록, 부가세, 경비처리까지
글을 읽기 전에
이런 분들을 위한 글이에요
- 요즘 "스마트스토어 하나 열어볼까?” 고민 중인 분
- “사업자등록 언제 해야 하나요?” 헷갈리는 분
- “부가세, 경비처리? 그게 뭐죠?” 하는 진짜 초보 사장님들
- 소득세, 종합소득세, 간이과세자? 듣기만 해도 머리 아픈 분
오늘 이 글 하나면 사업 시작부터 세금 구조까지,
진짜 핵심만 콕콕 잡아드릴게요!
목차
- 1인 쇼핑몰 시작하면 세금도 시작됩니다
- 사업자등록 꼭 해야 할까? 언제 해야 할까?
- 일반과세자 VS 간이과세자 뭐가 다른가요?
- 부가세? 종합소득세? 세금 구조 한 눈에 보기
- 비용 처리(경비처리)는 어디까지 가능할까?
- 세무서 안 가고 온라인으로 처리하는 방법은?
- 1인 쇼핑몰 초보 사장님의 세금 체크 리스트
1인 쇼핑몰 시작하면 세금도 시작됩니다
처음에는 정말 가볍게 시작하죠.
“스마트스토어 하나 만들어볼까?”
“쿠팡 판매자 가입은 금방 된다던데?”
“뭐, 몇 개 팔리면 그때 가서 생각하지 뭐.”
그런데 어느 날,
첫 정산금이 통장에 꽂히면서 고민이 시작됩니다.
이 돈, 그냥 써도 되나?
혹시 세금 신고해야 하나?
나 지금 사업자인 건가?
결론은 이거예요.
통장에 돈이 찍히는 순간부터 세금 문제도 시작됩니다.
국세청은 “규모가 작다”고 봐주지 않습니다.
"수익이 생겼다 = 사업자" 이렇게 보는 거예요.
사업자등록, 언제 꼭 해야 할까?
사업자등록은 돈이 들어오기 시작할 때 해야 합니다.
가끔 이런 분들도 있어요:
“아직 매출이 적은데 등록해야 해요?”
“판매는 하고 있는데, 다음 달부터 제대로 하려고요.”
하지만 세법상 기준은 분명합니다.
기본 원칙
-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순간 → 사업자등록 해야 함
- 수익이 크든 작든 상관없음
등록 안 하면?
- 무등록 가산세: 매출의 1% 추가로 내야 함
- 부가가치세 추징: 원래 냈어야 할 세금까지 한꺼번에
- 소득세 신고 누락 시 과태료
그리고 꼭 기억하세요
국세청은
- 스마트스토어 매출,
- 쿠팡 판매 정산,
- 카드사 정산 자료
모두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요.
일반과세자 vs 간이과세자, 뭐가 다른가요?
사업자등록을 하려면 꼭 고르는 게 하나 있습니다.
바로 일반과세자냐, 간이과세자냐.
어떤 차이일까요?
구분 | 일반과세자 | 간이과제사 |
매출 기준 | 연 8,000만원 초과 | 연 8,000만원 이하 |
부가세 신고 | 1년에 2번 (1월, 7월) | 1년에 1번 (1월) |
세금계산서 발급 | 의무 | 선택 |
부가세 부담 | 실제 매출 기준으로 큼 | 세율 자체가 낮음 |
쉽게 말하면
- 매출이 크다 → 일반과세자 등록
- 매출이 작다 → 간이과세자로 시작
주의할 점
- 간이과세자는 연매출 8천만 원 넘으면 자동으로 일반과세자 전환됩니다.
- 만약 기업·회사 거래를 많이 한다면 세금계산서를 요구받을 수 있어서 처음부터 일반과세자가 나을 때도 있어요.
부가세? 종합소득세? 세금 구조 한눈에 보기
쇼핑몰을 하면
두 가지 큰 세금을 꼭 챙겨야 합니다.
세금 종류 | 언제 | 누구에게 |
부가가치세 | 판매할 때 제품 가격의 10% 포함해서 받음 → 6개월마다 정산 | 국세청 |
종합소득세 | 1년 동안 번 돈을 기준으로 5월에 신고 | 국세청 |
그리고 소득이 많아지면
지방세(주민세, 재산세 등)도 추가로 부과돼요.
요약
- 제품 팔면 부가세 생각
- 1년 수입 모이면 종합소득세 준비
특히 쇼핑몰은 대부분 카드결제, 정산시스템 기록으로
숨길 수 있는 매출이 없습니다.
국세청은 이미 모든 데이터를 보고 있습니다.
비용 처리(경비처리)는 어디까지 가능할까?
경비처리는 쉽게 말해,
“내가 돈 벌려고 쓴 비용은 빼주겠다.”
는 뜻이에요.
예를 들어 볼게요
- 내가 제품을 사서 팔았다 → 제품 구입비용 (매입비) 인정
- 포장 박스, 택배 송장, 뽁뽁이 → 포장비 인정
- 인스타 광고, 네이버 키워드 광고 → 광고비 인정
- 스튜디오 빌려서 사진 찍음 → 촬영비 인정
- 제품 상세페이지 디자인 외주 → 디자인비 인정
이 모든 비용을 잘 모아두면
총 수익 – 경비 = 과세 소득이 줄어들고,
결국 내야 할 세금도 줄어듭니다.
꼭 필요한 준비물
- 영수증, 세금계산서
- 카드 사용 내역서
- 간이영수증보다는 카드 영수증/현금영수증
세무서 안 가고 온라인으로 처리하는 방법은?
요즘은 진짜 편해졌습니다.
항목 | 처리 방법 |
사업자등록 | 홈택스 또는 정부24 (비대면 5분) |
부가세 신고 | 홈택스(PC) 또는 손택스(앱) |
종합소득세 신고 | 5월, 홈택스에서 가능 |
경비 정리 | 삼쩜삼, 캐시노트, 프리랜서택스 앱 이용 |
핸드폰 하나로도 사업자등록부터 세금신고까지 다 할 수 있어요.
더 편하게 하려면 세무 대리인 앱(예: 삼쩜삼) 이용해도 됩니다.
1인 쇼핑몰 초보 사장님의 세금 체크리스트
✔️ 매출이 생기면 바로 사업자등록
✔️ 간이과세자/일반과세자 선택 이해
✔️ 부가세 신고 시기 기억 (1월, 7월)
✔️ 종합소득세 준비 (5월)
✔️ 경비처리용 영수증/자료 모으기
✔️ 홈택스/손택스 익숙해지기
쇼핑몰은 처음엔 가볍게 시작하지만,
세금은 진지하게 준비해야 오래 갑니다.
처음부터 흐름을 알고 가는 사람은
세무조사 불안도 없고,
환급받을 것도 환급받고,
매출이 커져도 자신 있게 확장할 수 있어요.
'세금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 비워두지 마세요! — 공실로 손해 막고, 임대 수익 만드는 방법 (0) | 2025.04.26 |
---|---|
실거주 안 하면 1세대 1주택자여도 감면 못 받는다고요? —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실거주 요건 완전 정리 (0) | 2025.04.26 |
부모님이 대학 등록금을 대신 내주는 건 증여인가요? — 등록금 증여세, 교육비 기준, 가족 간 송금 세금 정리 (0) | 2025.04.25 |
부모님이 준 돈도 세금 내야 하나요? — 증여세, 증여 공제 한도, 가족 간 송금 핵심 정리 (0) | 2025.04.25 |
이사했는데 주소지 따라 세금 달라진다고요? — 지방세·자동차세·주민세 핵심 정리 (1) | 2025.04.25 |
세무사 상담비, 아깝지 않게 쓰는 법 — 나한테 꼭 필요한 세금 조언 고르는 팁 (0) | 2025.04.24 |
카드 소득공제, 어디까지 되는 걸까? — 직장인을 위한 절세 전략 핵심만 (0) | 2025.04.23 |
“자동차세 연납, 진짜 이득일까?” — 지방세 할인과 벌금 총정리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