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금 이야기

1인 쇼핑몰 창업자 세금 핵심만 알려드림 — 사업자등록, 부가세, 경비처리까지

 

 

1인 쇼핑몰 창업자 세금 핵심만 알려드림 — 사업자등록, 부가세, 경비처리까지

 

글을 읽기 전에

이런 분들을 위한 글이에요

  • 요즘 "스마트스토어 하나 열어볼까?” 고민 중인 분
  • “사업자등록 언제 해야 하나요?” 헷갈리는 분
  • “부가세, 경비처리? 그게 뭐죠?” 하는 진짜 초보 사장님들
  • 소득세, 종합소득세, 간이과세자? 듣기만 해도 머리 아픈 분

 

오늘 이 글 하나면 사업 시작부터 세금 구조까지,

진짜 핵심만 콕콕 잡아드릴게요!

 

 

 

1인 쇼핑몰 창업자 세금

 

 

 

 

 

목차

 

 

1인 쇼핑몰 시작하면 세금도 시작됩니다

 

처음에는 정말 가볍게 시작하죠.

 

“스마트스토어 하나 만들어볼까?”

“쿠팡 판매자 가입은 금방 된다던데?”
“뭐, 몇 개 팔리면 그때 가서 생각하지 뭐.”

그런데 어느 날,
첫 정산금이 통장에 꽂히면서 고민이 시작됩니다.

 

이 돈, 그냥 써도 되나?

혹시 세금 신고해야 하나?

나 지금 사업자인 건가?

 

결론은 이거예요.
통장에 돈이 찍히는 순간부터 세금 문제도 시작됩니다.

국세청은 “규모가 작다”고 봐주지 않습니다.
"수익이 생겼다 = 사업자" 이렇게 보는 거예요.

 

 

 

사업자등록, 언제 꼭 해야 할까?

 

사업자등록은 돈이 들어오기 시작할 때 해야 합니다.

가끔 이런 분들도 있어요:

 

“아직 매출이 적은데 등록해야 해요?”

“판매는 하고 있는데, 다음 달부터 제대로 하려고요.”

하지만 세법상 기준은 분명합니다.

 

기본 원칙

  •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순간사업자등록 해야 함
  • 수익이 크든 작든 상관없음

등록 안 하면?

  • 무등록 가산세: 매출의 1% 추가로 내야 함
  • 부가가치세 추징: 원래 냈어야 할 세금까지 한꺼번에
  • 소득세 신고 누락 시 과태료

그리고 꼭 기억하세요
국세청은

  • 스마트스토어 매출,
  • 쿠팡 판매 정산,
  • 카드사 정산 자료
    모두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요.

 

 

 

 

일반과세자 vs 간이과세자, 뭐가 다른가요?

 

사업자등록을 하려면 꼭 고르는 게 하나 있습니다.
바로 일반과세자냐, 간이과세자냐.

어떤 차이일까요?


구분 일반과세자 간이과제사
매출 기준 연 8,000만원 초과 연 8,000만원 이하
부가세 신고 1년에 2번 (1월, 7월) 1년에 1번 (1월)
세금계산서 발급 의무 선택
부가세 부담 실제 매출 기준으로 큼 세율 자체가 낮음

 

쉽게 말하면

  • 매출이 크다 → 일반과세자 등록
  • 매출이 작다 → 간이과세자로 시작

주의할 점

  • 간이과세자는 연매출 8천만 원 넘으면 자동으로 일반과세자 전환됩니다.
  • 만약 기업·회사 거래를 많이 한다면 세금계산서를 요구받을 수 있어서 처음부터 일반과세자가 나을 때도 있어요.

 

 

부가세? 종합소득세? 세금 구조 한눈에 보기

 

쇼핑몰을 하면
두 가지 큰 세금을 꼭 챙겨야 합니다.

 

세금 종류 언제  누구에게
부가가치세 판매할 때 제품 가격의 10% 포함해서 받음 → 6개월마다 정산 국세청
종합소득세 1년 동안 번 돈을 기준으로 5월에 신고 국세청

 

그리고 소득이 많아지면
지방세(주민세, 재산세 등)도 추가로 부과돼요.

 

 요약

  • 제품 팔면 부가세 생각
  • 1년 수입 모이면 종합소득세 준비

특히 쇼핑몰은 대부분 카드결제, 정산시스템 기록으로
숨길 수 있는 매출이 없습니다.
국세청은 이미 모든 데이터를 보고 있습니다.

 

 

비용 처리(경비처리)는 어디까지 가능할까?

 

경비처리는 쉽게 말해,

 

“내가 돈 벌려고 쓴 비용은 빼주겠다.”

는 뜻이에요.

 

예를 들어 볼게요

  • 내가 제품을 사서 팔았다 → 제품 구입비용 (매입비) 인정
  • 포장 박스, 택배 송장, 뽁뽁이 → 포장비 인정
  • 인스타 광고, 네이버 키워드 광고 → 광고비 인정
  • 스튜디오 빌려서 사진 찍음 → 촬영비 인정
  • 제품 상세페이지 디자인 외주 → 디자인비 인정

이 모든 비용을 잘 모아두면
총 수익 – 경비 = 과세 소득이 줄어들고,
결국 내야 할 세금도 줄어듭니다.

 

꼭 필요한 준비물

  • 영수증, 세금계산서
  • 카드 사용 내역서
  • 간이영수증보다는 카드 영수증/현금영수증

 

 

세무서 안 가고 온라인으로 처리하는 방법은?

 

요즘은 진짜 편해졌습니다.


항목 처리 방법
사업자등록 홈택스 또는 정부24 (비대면 5분)
부가세 신고 홈택스(PC) 또는 손택스(앱)
종합소득세 신고 5월, 홈택스에서 가능
경비 정리 삼쩜삼, 캐시노트, 프리랜서택스 앱 이용

 

핸드폰 하나로도 사업자등록부터 세금신고까지 다 할 수 있어요.
더 편하게 하려면 세무 대리인 앱(예: 삼쩜삼) 이용해도 됩니다.

 

 

 

 

1인 쇼핑몰 초보 사장님의 세금 체크리스트

 

✔️  매출이 생기면 바로 사업자등록
✔️ 간이과세자/일반과세자 선택 이해
✔️  부가세 신고 시기 기억 (1월, 7월)
✔️ 종합소득세 준비 (5월)
✔️ 경비처리용 영수증/자료 모으기
✔️ 홈택스/손택스 익숙해지기

 

쇼핑몰은 처음엔 가볍게 시작하지만,
세금은 진지하게 준비해야 오래 갑니다.

처음부터 흐름을 알고 가는 사람은

세무조사 불안도 없고,

환급받을 것도 환급받고,

매출이 커져도 자신 있게 확장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