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금 이야기

2025년 건강보험료 정산, 갑자기 왜 더 내라고 하죠? — 직장인·프리랜서가 꼭 알아야 할 보험료 정산 제도

 

 

“건강보험료 정산 고지서가 왔는데... 혹시 잘못된 거 아니에요?”

건강보험료는 매달 꼬박꼬박 냈는데,
어느 날 갑자기 ‘정산 고지서’가 도착하면서
“더 내야 한다”는 안내를 받는다면 누구든 당황할 수밖에 없죠.

하지만 너무 걱정하진 마세요.
이건 실수도, 벌금도 아니고
생각보다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는 정식 제도랍니다.

2025년부터는 이 **‘건강보험료 정산 제도’**가
더 체계적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추가로 내야 하는 사람도 생기지만, 돌려받는 사람도 늘어났어요!

지금부터 아주 쉽게 알려드릴게요.

 

 

건강보험료

 

 

 

 

 

목차

 

 

건강보험료 정산이란?

 

건강보험료는 보통 ‘추정 소득’을 기반으로 매달 부과돼요.
그런데 실제로는 소득이 많아지거나 줄어들 수 있어서
다음 해가 되면 국세청 소득자료를 바탕으로 ‘정산’을 다시 해요.

 

한마디로, “작년 소득 기준으로 매긴 보험료가 실제랑 맞았는지

다시 확인해서 조정하는 절차”예요.

정산 결과,

  • 덜 냈다면 👉 추가 납부
  • 더 냈다면 👉 환급!

즉, 무조건 손해 보는 게 아니라,
더 낸 걸 되돌려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생길 수도 있는 거죠.

 

 

2025년부터 달라진 점은?

이번 해부터 건강보험공단이
더 정확하게, 더 공정하게 보험료를 매기기 위해
정산 기준을 바꿨어요.

2025년 주요 변화 3가지:

  1. 소득 범위가 넓어졌어요
    • 예전에는 근로소득, 사업소득 위주
    • 2025년부터는 이자·배당·연금·기타소득까지 포함 (총 6종)
  2. 정산 시기가 앞당겨졌어요
    • 예전엔 5,6월이었지만, 소득 자료 수집과 분석이 빨라져서,
      올해는 3,4월부터 고지서가 도착하는 경우도 있어요
  3. 국세청 정보로 자동 정산돼요
    • 연말정산이나 종합소득세 신고에서 누락된 소득도
      건강보험공단이 따로 확인해서 자동 반영해줍니다

 

그래서 고지서가 예고 없이 빨리 올 수도 있어요!

단, 소득이 줄었다면 환급 대상이 될 확률도 높아져요. 

 

 

 

 

 

그럼 국민연금도 정산 대상인가요?

 

이 질문, 정말 많이 받는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국민연금 같은 공적연금은 건강보험료 정산 대상이 아닙니다.

건강보험료 정산에 포함되는 ‘연금소득’은
개인연금이나 연금저축보험 같은 사적연금을 말해요.

 

정리하자면,

  •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 → 정산 소득 아님
  • 연금저축, 개인연금, 일부 퇴직연금 ✅ → 정산 소득 포함될 수 있음

왜 국민연금은 빠지냐고요?
이미 소득에 따라 납부했던 사회보험 성격이기 때문이에요.
건강보험료 산정에까지 포함되면 이중 부담이 되겠죠.

그러니까 고지서 보고 “내가 국민연금 받는데 왜 또 내지?” 걱정하지 마세요.
사적 연금이 있는 경우에만 확인하시면 됩니다.

 

그럼 ‘기타소득’은 뭐가 포함되나요?

 

‘기타소득’은 말 그대로 근로·사업 소득은 아니지만, 돈으로 받은 것들을 말해요.
대표적인 예시는 이런 것들입니다:

 

✔ 강의료, 원고료, 인세, 자문료

✔ 상금, 일시적으로 받은 사례비
✔ 프리랜서로 소득 신고 안 된 부수입 등

 

특히 N잡러, 유튜버, 디자인·글쓰기 외주하시는 분들이라면
‘기타소득’으로 들어오는 돈이 은근히 많기 때문에,
건강보험료 정산 시 꼭 확인해보시는 게 좋아요.

 

 

 

 

누가 정산 대상이 될 수 있을까요?


연봉이 줄거나 늘었어요 2024년에 6천만 원 → 2025년 4천만 원으로 줄어든 직장인
이직·퇴사·재취업이 있었어요 연초 퇴사 후 연말에 재취업한 직장인
프리랜서·사업자로 일해요 계약 건마다 수입이 들쭉날쭉한 유튜버, 작가 등
월세·배당·연금 같은 소득이 새로 생겼어요 2025년부터 부모님 집을 임대해 월세 수입이 생긴 경우
부모님 피부양자였다가 수입이 생겼어요 대학생에서 알바 시작한 경우, 프리랜서 전환 등
 

 

예시로 이해해볼까요?

 김대리 (직장인)

  • 2024년 연봉: 6,000만 원
  • 2025년 연봉: 4,200만 원
  • 보험료는 작년 기준으로 계속 납부 중
    → 5월 정산 시 보험료 일부 환급 가능!

박사장 (프리랜서 + 월세 수입)

  • 작년에는 소득 적었지만
  • 올해부터 부동산 월세 수익이 생김
    → 새로 생긴 소득 반영돼 건강보험료 인상 가능성 있음

Tip:
올해 소득이 줄었다면 → 환급 기대감↑
올해 소득이 늘었다면 → 추가 납부 가능성

 

 

정산은 어떻게 고지되고, 어떻게 납부하나요?

  • 고지 시기: 매년 3~6월 사이
  • 어디서 받나요?
    • 국민건강보험공단 앱, 홈페이지, 카카오 알림톡, 문자, 우편
  • 납부 방법은?
    • 카드 / 계좌이체 / 자동이체
    • 인터넷지로(www.giro.or.kr)
    • ARS 납부 ☎ 1544-9944

 

30일 이내 납부 안 하면 가산금 붙어요

→ 그런데 환급 대상이면?
알림 놓치면 돈 못 돌려받을 수도 있어요!

 

 

 

 나도 정산 대상일까? 빠르게 체크해보세요

  •  작년보다 내 연봉이 줄거나 늘었다
  •  중간에 이직, 퇴사, 재취업 했다
  • 프리랜서라 소득이 들쭉날쭉하다
  • 월세나 배당, 연금 소득이 생겼다
  • 피부양자였다가 수입이 생겼다

 

👉 이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건강보험료 정산 고지서, 꼭 열어보고 확인해보세요.
환급 대상일 수도 있어요!

 

 

 

 ‘정산’은 벌금이 아니라 내 돈 다시 확인하는 기회입니다

건강보험료는 그냥 내고 끝이 아니에요

2025년부터는 더 정확하고 공정하게 다시 계산해줍니다

정산을 통해 더 냈던 보험료를 돌려받는 사람들도 많아요

고지서 오면 “왜 또 내라고 해?” 말고
→ “혹시 나 돌려받는 건 아닐까?” 하고 꼭 열어보세요!

놓치면 환급 기회도 날아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