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금 이야기

월급에서 빠지는 그 돈, 소득세인가요?

 

 

월급에서 빠지는 그 돈, 소득세인가요?

— 직장인 월급명세서 속 숨은 세금 완전 정리

 

 "이번 달도 통장은 텅장인데, 세금은 대체 왜 이렇게 많이 떼가요?"

 

“월급은 그대로인데, 세금은 자꾸 느는 것 같아요.”
“매달 30만 원 넘게 빠지는데, 그중에 ‘소득세’는 도대체 얼마고,
다른 건 뭐예요?”

저도 이걸 몰랐어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직장인의 월급명세서 속 세금 구조를 아주 쉽게 정리해봤어요.

 

 

 

 

 

목차

 

직장인 세금

 

 

 

월급명세서 예시

실전 예시 (연봉 3,600만 원, 월급 300만 원 기준)

 

총지급액 3,000,000 월급 기본급
국민연금 -135,000 4.5%
건강보험 -101,400 3.545%
장기요양보험 -11,150 건강보험의 11%
고용보험 -26,100 0.9%
소득세 -15,400 구간별 누진 적용
지방소득세 -1,500 소득세의 10%

 

실 수령액 = 약 2,709,000원

즉, 30만 원이 넘는 금액이 매달 빠져나가는데
이 중에서 소득세는 약 15,000원 내외입니다.

 

 

소득세? 건강보험? 뭐가 세금이에요?

 

항목명 세금인가요? 어디에 쓰이나요?
소득세 ✅ 예 국세청 → 나라 운영
지방소득세 ✅ 예 시·군·구청 → 지역 사업
국민연금 ❌ 보험료 노후 연금, 은퇴 준비
건강보험 ❌ 보험료 병원비, 의료지원
장기요양보험 ❌ 보험료 요양시설, 간병 서비스
고용보험 ❌ 보험료 실업급여, 고용안정사업

 

 

소득세 + 지방세 = 진짜 세금이고,
나머지는 보험료지만 “반강제성”이 있어서 체감상 세금처럼 느껴짐

 

 

소득세는 어떻게 계산돼요?

 

 

 

 

소득세는 연간 소득에 따라 “누진세율”이 적용돼요.
즉, 많이 벌수록 더 높은 세율이 적용되죠.


연소득 세율
1,200만 원 이하 6%
1,200만 ~ 4,600만 15%
4,600만 ~ 8,800만 24%
8,800만 초과 35~45%

 

👉 하지만 공제(비과세 수당, 기본공제 등)가 많기 때문에
실제로는 월급 300만 원 직장인은 약 15,000~30,000원 사이로 납부돼요.

 

 

 “연말정산”은 왜 하나요?

 

회사에서는 매달 어림잡아 세금을 미리 떼어요.
하지만 실제 연말에 정확한 총 소득과 공제 내역이 나오면
“덜 냈으면 더 내고,
많이 냈으면 돌려주는 것”이 바로 연말정산입니다.

 

연말정산에서 환급받기 쉬운 항목:

  • 신용/체크카드 사용액 (총급여의 25% 초과분)
  • 교육비, 의료비, 기부금, 보험료
  • 부양가족 공제

 

직장인 세금 구조 한눈에 보기


 

 

 

구분 월급에서 빠짐? 매달 내는 금액 연말 정산 대상
소득세 ✅ 예 1만~20만 원 ✅ 예
지방소득세 ✅ 예 소득세의 10% ✅ 예
건강보험 ✅ 예 약 3~4%
국민연금 ✅ 예 약 4.5%
고용보험 ✅ 예 약 0.9%

 

소득세는 나라 운영에 들어가는 실제 세금이고,

건강보험료·국민연금은 미래를 위한 사회보장제도이며,

연말정산을 통해 일부는 돌려받을 수 있다는 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