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금 이야기

“공제? 비과세? 소득공제?”세금 줄여주는 말, 헷갈릴 때 딱 이거 하나만 보세요!

 

 

“공제? 세금 할인 같은 건가요?”


공제, 소득공제, 세액공제, 비과세 수당 이런 용어는들어 봤지만

확실히 잘 알진 못하죠. 저 역시 그래요.

실제로는 세금을 줄이는 핵심이 바로 ‘공제’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공제의 개념부터 실제 예시까지
진짜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세금 공제

 

 

 "공제"가 뭐예요?

내가 번 돈(소득)에서 일정 금액을 빼고 나서 세금을 매기는 것이에요.
즉, ‘이건 세금 매기지 마세요’ 하고 빼주는 금액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예를 들어볼게요

  • 내가 월급으로 300만 원을 받는다고 해볼게요.
  • 연봉으로는 3,600만 원이에요.
  • 그런데 그 전체 금액에 세금을 매기는 게 아니에요.

왜냐하면:

 

 나라가 “기본적인 생계나 사회적 지원을 위한 지출은 빼줄게요” 라고 정해놨기 때문이에요.

 

[1] 기본공제란?

 

“사람이라면 누구나 인정되는 공제”

  • 나 본인에게는 기본공제 150만 원이 자동으로 적용돼요.
  • 가족 중 부양가족(예: 배우자, 부모, 자녀)이 있다면 한 명당 150만 원씩 추가 공제 가능

 예시:

  • 혼자 사는 직장인 = 기본공제 150만 원
  • 배우자 + 자녀 1명 부양 = 150만 × 3명 = 450만 원 공제

즉, 연봉이 3,600만 원이어도
세금 계산은 3,150만 원을 기준으로 시작

 

대상 공제 금액
본인 150만 원
배우자 150만 원
부모님(60세 이상, 소득 100만 원 이하) 1인당 150만 원
자녀(20세 이하, 소득 없음) 1인당 150만 원

 

 [2] 비과세 수당이란?

 

“월급 안에 포함되어 있지만, 세금이 매겨지지 않는 수당”

  • 비과세 항목은 나라에서 세금 면제해주는 수당이에요.
  • 대표적으로 식대, 자녀보육수당, 출퇴근 교통비, 야근수당 일부 등이 해당돼요.
 

 

항목 월 한도 설명
식대 10만 원 전 직원 공통 적용 가능
자녀보육수당 10만 원/자녀당 만 7세 이하 자녀 기준
자가운전보조비 20만 원 일정 요건 충족 시 가능
야근수당 일부 업종 조건 야간근로수당 중 일부 면세

 

 

 

예시:

  • 월급 300만 원 중 식대 10만 원 + 자녀보육수당 10만 원 포함
    → 이 20만 원은 세금 계산 대상에서 빠짐

 따라서 실질 과세 기준은 280만 원

 

 [3] 소득세 계산 순서 요약

  1. 총급여 (예: 3,600만 원)
  2. – 비과세 수당 (예: 연 240만 원)
  3. = 과세표준 대상 소득 (예: 3,360만 원)
  4. – 기본공제, 추가공제 (예: 본인 + 부모 1인 = 300만 원)
  5. = 실제 과세표준 (예: 3,060만 원)
  6. → 여기에 소득세율 6~15% 적용

결국, 표면상 연봉 3,600만 원이지만 세금은 실제로 2,500~3,000만 원 선을 기준으로 부과되는 거죠!

 

 

공제와 비과세의 핵심 차이

 
 

 

비과세 수당 아예 세금 계산 대상에서 제외되는 급여 식대, 보육수당 등
공제 (소득공제) 세금 계산 전, 총소득에서 빼주는 항목 기본공제, 연금저축, 기부금 등
세액공제 세금 다 계산한 후, 최종 세액에서 빼주는 항목 연금저축, 보험료 공제 등

 

 

 

내가 받는 것 세금 부과 여부 비고
기본급 과세 O 소득세·4대보험 포함
식대 10만 원 과세 X 비과세 수당
자녀 1명 공제 O 부양가족 기본공제
연금저축 납입 세액공제 O 연 400만 원까지

 

 

 

"공제"는 세금 줄이는 공식적인 장치예요.

공제를 알면, “왜 내 소득세는 이렇게 적게 나오지?”가 이해돼요.

그리고 그걸 잘 활용하면, 연말정산 환급도 더 크게 받을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