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세금으로 매년 얼마를 내고 있을까?
— 40대 직장인·프리랜서·자영업자 실전 계산 정리
목차
세금’이라는 단어만 들어도 머리가 복잡하신가요?
솔직히 말해서 저는 세금이 뭔지도 모르고 살았어요.
회사원이면 소득세를 알아서 월급에서 떼어가니까 얼마를 내는 줄도 모르고
프리랜서와 자영업자는 직접 신고해야 하니까 너무 복잡하게 느껴졌죠.
하지만 뉴스에서는 세금 얘기가 넘쳐나고,
실제로 연말정산, 종합소득세, 부가세가 다 내 삶에 영향을 준다는 걸 알고 나니
제대로 한 번 정리해봐야겠다 싶었습니다.
세금은 ‘나랏돈’이 아니라 ‘내 삶의 인프라비’
세금은 나라가 학교를 세우고, 병원을 돌리고, 도로를 깔고, 소방차를 굴리는 데 쓰여요.
한 마디로, 우리가 사는 세상을 유지하는 ‘공공의 공동 자금’이죠.
2024년 우리나라 총예산은 약 657조 원,
그 중 80% 이상이 국민 세금으로 마련됩니다.
출처: 기획재정부 2024 예산안
그럼 나는 어떤 세금을 내고 있을까요?
경제 활동을 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크게 3가지 세금과 마주하게 됩니다.
1. 소득세
- 내가 번 돈에 따라 내는 세금
대상 | 월급쟁이(근로소득), 프리랜서(사업소득), 임대, 이자, 배당 등 소득 |
내는 방식 | 직장인은 자동 공제, 자영업자는 직접 신고 |
세율 (2024) | 6% ~ 45% (소득 구간별 누진제) |
연소득 (2024 기준)소득세율
1,200만 원 이하 | 6% |
4,600만 원 이하 | 15% |
8,800만 원 이하 | 24% |
1.5억 이하 | 35% |
3억 이하 | 38% |
5억 이하 | 40% |
10억 이하 | 42% |
10억 초과 | 45% |
예시:
- 연봉 3,000만 원 → 약 170만 원 내외
- 연봉 5,000만 원 → 약 400만 원 내외
2. 부가가치세
- 내가 물건이나 서비스를 팔 때 생기는 세금
소비자가 물건을 사면 그 안에 자동 포함
판매자는 이 금액을 모아 국가에 신고해서 납부
대상 | 판매자 (자영업자, 프리랜서 등) |
내는 방식 | 연 2회 신고 (1월·7월) |
세율 | 기본 10% |
예시:
- 손님이 5,500원에 커피 한 잔 구매 →
안에 500원은 부가가치세, 사장님이 대신 납부
3. 지방세
- 재산(자동차, 집 등 소유)에 따라 지역에 내는 세금
자동차세 | 연 1~2회 부과, K5 기준 약 29만 원/년 |
재산세 | 집의 공시가격에 따라 부과, 6억 원 아파트 기준 약 70만 원 |
취득세 | 부동산 구매 시 매입가 기준 1.1%~4.6% 부과 |
현실적인 예시: 나는 연간 세금 얼마나 낼까?
· 직장인 김과장 (42세, 연봉 5,000만 원)
✔ 소득세
✔ 지방소득세
✔ 연말정산
✔ 건강보험료 (세금은 아니지만 비슷하게 자동 공제)
매달 약 65만 원 정도가 공제돼요.
연말정산으로 30만원 돌려받기도, 추가로 내기도 합니다.
· 프리랜서 박디자이너 (33세, 월소득 300만 원)
✔ 종합소득세 (직접 신고)
✔ 부가가치세 (연 2회 신고)
✔ 국민연금/건강보험 (자율 납부)
👉 아무도 떼가지 않으니 무조건 본인이 챙겨야 함
👉 종합소득세는 매년 5월 31일까지 신고·납부
👉 부가세는 1월과 7월에 각각 1기, 2기 납부
· 자영업자 장사장 (48세, 카페 운영)
✔ 부가가치세 (물건 팔 때 자동 포함)
✔ 종합소득세
✔ 지방세 (재산세, 자동차세 등)
👉 매출 8,000만 원 초과 시, 간이과세자에서 일반과세자로 전환
참고: 2023년 국세청 통계
- 종합소득세 대상자 약 780만 명
- 부가가치세 대상자 약 760만 명
→ 즉, 직장인이 아닌 사람도 세금 주체로서 매우 많음
1. 소득세 계산하기
→ 직장인, 프리랜서, 자영업자 모두 사용 가능
국세청 종합소득세 자동계산기 (홈택스)
- 주소: https://www.hometax.go.kr
- 경로:
홈택스 > 신고/납부 > 종합소득세 > 세액계산 프로그램 - 주요 기능:
- 총수입 입력 → 소득금액, 필요경비, 공제항목 반영
- 예상 납부액 자동 계산
- 프리랜서/기타소득도 포함 가능
2. 부가가치세 계산하기
→ 자영업자, 프리랜서, 창업 준비하는 분에게 유용
국세청 부가가치세 간편 계산기
- 주소: https://www.nts.go.kr
- 경로:
홈 > 민원안내 > 부가가치세 > 간이과세자 세액계산기 - 주요 기능:
- 업종별 부가세율 자동 적용
- 연 매출 입력 시 예상 납부 부가세 확인 가능
- 일반과세/간이과세 자동 판별
3. 지방세 계산하기
→ 자동차세, 재산세, 취득세 등
위택스(WETAX) 지방세 계산기
- 주소: https://www.wetax.go.kr
- 경로:
위택스 > 편의기능 > 세금모의계산 - 주요 기능:
- 자동차세: 차종, 배기량, 등록연도 입력 → 세액 계산
- 재산세: 아파트 주소, 공시가격 입력 → 세액 계산
- 취득세: 부동산 종류, 금액, 취득 목적 입력 → 세액 추정
'세금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무사 상담비, 아깝지 않게 쓰는 법 — 나한테 꼭 필요한 세금 조언 고르는 팁 (0) | 2025.04.24 |
---|---|
카드 소득공제, 어디까지 되는 걸까? — 직장인을 위한 절세 전략 핵심만 (0) | 2025.04.23 |
“자동차세 연납, 진짜 이득일까?” — 지방세 할인과 벌금 총정리 (0) | 2025.04.23 |
종합소득세, 5월 전에 뭐부터 준비해야 하나요? — 프리랜서 생존 가이드 (0) | 2025.04.23 |
프리랜서, 자영업자 부가세 폭탄 피하는 법 (0) | 2025.04.22 |
“공제? 비과세? 소득공제?”세금 줄여주는 말, 헷갈릴 때 딱 이거 하나만 보세요! (0) | 2025.04.22 |
소득세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0) | 2025.04.22 |
월급에서 빠지는 그 돈, 소득세인가요? (0) | 2025.04.22 |